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증2

턱관절 통증 턱관절 증후군은 주로 음식씹기가 불편하고 입을벌릴때 통증이나 장애가 있거나 귓속까지 통증이 있으면 턱관절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턱관절 질환이 있다면 치과에가서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치아교정을 하지만 이는 장기간 치료이다 보니 오래걸리게된다. 턱관절장애는 턱을 닫을때 작용하는 깨물근과 관자근에 강직성통증유발점이 생기면 근육의 탄력이 떨어져 관절간격이 좁아지고 입을 벌리기가 불편해진다 좌우 균형이 안맞아 관절장애를 일으키고 장기간 방치하면 관절의 손상을 야기한다. 정상일 경우 윗니와 아랫니 사이가 1-3mm 떨어져 안정공간이 있는데 턱관절 질환을 가진사람은 깨물근과 관자근의 긴장으로 안정공간이 없어지게된다 깨물근과 관자근의 이완을 유도하여 안정공간을 만들어주는게 좋다 2023. 12. 29.
두통이 있을때 목덜미에 있는 근육인 후두하근, 등세모근, 머리반가시근, 머리널판근, 앞쪽관자근쪽 통증유발점 활성화로 두통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통증유발점은 말그대로 통증시작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로 뒷통수 아래쪽 붙어있는 근육들을 이완시켜주면 두통이 완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만약 편두통이라면 앞관자근과 깨물근 까지 이완 시켜주면 좋습니다 등세모근과 머리반가시근이 뒤통수신경과 셋째뒤통수신경을 압박 머리널판근이 뒤통수동맥을 압박하거나, 뒤통수정맥을 압박 뒤통수신경을 압박 앞쪽관자근의 긴장으로 관자부분의 통증이 생기기도 한다 2023.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