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얼굴신경마비(Facial nerve palsy) 진단과 치료

by 수니의 치료실 2024. 1. 2.
반응형

서론

입이 틀어지고 한쪽 눈이 잘 감기지 않으며 한쪽 얼굴의 표정 짓기가 되지 않을때 얼굴 신경마비라 부르고 있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론만 있을뿐 확실한 정설은 없다.

현대의학에서는 원인을바이러스감염때문에생긴것이라설명하고 치료는다량의 steroid 를 투여하거나 항바이러스제를 투여 하기도 한다.

그러나 치료를 받지 않고도 자연 치유되는 환자도 없지 않아 자연 치유된 환자 마저 자기의 치료 덕분에 좋아진것으로 오해하는 의료인들이 있다.

얼굴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얼굴신경 중 순수한 운동신경의 장애가 말초에서 생겼을때 벨마비 (Bell' s Palsy)라 부르고 대상포진처럼 수두 바이러스(chicken pox virus)의 얼굴신경에 감염되어 생긴것을 Ramsay Hunt's Syndrome 이라한다.

만일에 혀의 앞쪽2/3 맛을 구별하지 못하는 감각장애까지 겹쳤다면 이는 속에서 부터생긴 얼굴신경의장애를 의심해야 할것 이다

 

발생기전

얼굴신경이붓꼭지구멍(stylomastoid foramen) 통해서 머리뼈 밖으로 나오는출구에 두힘살근(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 얼굴신경과 인접해있다.

얼굴신경 환자의 신경주행을 추적해 보면 두힘살근의 뒤힘살이꼭지돌기(mastoid process) 착하는근처에서 비후되어 있거나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얼굴신경을 압박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얼굴신경 압박의 초기엔 귓속이 아프거나 귀의 뒤쪽부근에 심한통증이 있다가 점차 안면근육이 마비되면서 얼굴표정이틀어지고 눈물이 나오고 이마엔 주름살이 없어지게 된다.

얼굴마비의 발병직전이나 초기에 뒤쪽에 두통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유는 얼굴신경중의 귀바퀴신경(posterior auricular n.) 홍분을 일으켜 귀바퀴근(auricular m.) 긴장 시켜서 통증을 일으켰던것인데 시간이 경과하면 신경이 마비되면서 통증은 없어진다.

 

진단

증상으로보아 속에 생긴 중추성 원인인지 말초성 원인 인지 부터 먼저 가려야한다.

중추성인 경우에는 마비된 이마에 정상적으로 주름이 잡히지만 말초성인 경우에는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는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얼굴신경이 속에서 장애를 일으켰을 경우에는 혀끝의 맛을 구별하는 능력까지 마비됨으로구별이 가능하다. 말초성인 경우에는 촉진으로 뒤에 있는꼭지돌기 앞쪽의 바로 압박해보면 심한 압통을 호소하는 것을 알수 있다. 여기가 두힘살근의 뒤힘살이 꼭지돌기의 안쪽에 부착하는 점인데, 여기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얼굴신경을 압박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1) 도르래 위 신경(supra trochlear)의 장애에의한 눈썹활 사이의 통증

증상 : 눈썹의 안쪽에서 이마쪽으로 올라가는 통증으로 주로 편측으로 잘생긴다.

원인 : 도르래위신경(supratrochlear n.) 은 삼차신경(trigeminal n.)중 안신경(ophthalmic n.)의 이마신경(frontal n.)에서 갈라진 가지로서 결막(conjunctiva)과 위쪽 눈꺼풀(upper eyelid)에 안쪽 피부 감각가지를 보내고 눈썹 주름근과 이마근(frontalis m.)의 밑으로 올라가 이마 아래쪽의 내측 피부 감각을 담당한다.

도르래위신경이 눈썹주름근의 밑과안와궁(orbital arch) 사이로 올라가다가 눈썹 주름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에의해 압박당했을때 눈썹의 내측에서 이마로 올라가는 통증이생긴다

눈썹주름근( Lorrugator supercilii m.): 눈썹의 안쪽에 있는 작고 가느다란 삼각형의 근육 인데 눈썹활(superciliary arch-안와 가장자리 약간 위에서 미간으로 부터 외상방으로 호를 그리는융기) 내측에서 시작하여 외측 상방으로 올라가 안와 (orbital arch) 중간위쪽에 피부의 깊은곳에 부착된다. 기능은 눈썹을 아래와 안쪽으로 당겨 이마를 수직으로 주름지게 한다.

진단 : 눈썹의 안쪽 하방을 촉진 해보면 심한 압통이 발견된다.

치료 : 초기에는눈썹 주름근을 가볍게 마사지 해주어 강직을 풀어주면 통증이 없어지지만 만성화 경우에는 눈썹주름근에 직접 리도카인과 스테로이드나 BotuHnum Toxin 혼합해서 주사한다. 근육이작기 때문에 약물은 0.3~0.5cc 정도로 만들어가는 바늘을 사용해서 눈썹주름근에 직각 방향으로 찔러 주사하고 물리치료를 해주면 통증은 금방 사라진다.

 

2) 눈확아래신경(infra orbital n.) 장애에 의한 통증.

증상 : 눈 밑에서 부터 코의 옆과 가장자리까지 통증이 있거나 감각장애를 느낀다. 때로는윗니 송곳니(canine)에서부터 앞쪽이빨(incisor) 까지 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원인 : 위턱신경(maxillary n.)의 가지인 눈확아래신경(infraorbital n.)의 감각신경분지는 눈확아래구멍(infra-orbital foramen)을 뚫고 나와 눈 밑에서 부터 코의 옆과 가장자리의 감각을 맡고 앞위이틀가지(anterior superior alveolar n.)는 눈확 아래관(infra-orbital canal)에서 위쪽 송곳니와 앞니 두개의 뿌리에 감각을 담당한다

피부 감각신경 피부로 나오는 눈확아래구멍(infraorbital foramen)의 출구 근처에서 윗입술올림근 (levator labii siiperioris m.)에 있는 통증유발점에게 압박 받으면 감각신경의 장애를 일으킨다. 그러나 신경이 어떤 원인에 의해 위턱뼈에 있는 터널 안에서 압박 받으면 위쪽송곳니와 앞니에 까지 통증을 일으키게된다.

 

※ 윗입술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m.): 눈확아래구멍의 바로위쪽의눈확(orbital fossa) 가장자리와 부분적으로는 위턱뼈 광대뼈에서 기시하여 입술 가장 자리에 있는 입둘레근(orbicularis oris m.) 에 부착된다. 얼굴신경볼가지(buccal br.)의 지배를 받으며 윗입술을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진단 : 눈확아래구멍의 주위를 가볍게 촉진했을때 심한 통증이 있으면 강직이 있는 윗입술올림근에의해 눈확아래신경이 압박 당한 것을 있다. 위쪽 송곳니를 두드려보아 통증이 악화 되면 상악골의 눈확아래관 안에서 신경의 통로가 막혀있음을 의심할 수있다.

치료 : 피부감각분지의 장애만 있는 경우에는 윗입술올림근에 있는 압통점을 치료해주면 쉽게 통증치료가 된다. 치아의 감각신경장애가 동반되었을 때에는 눈확아래구멍 속으로 25G 주사 침을 찔러 넣어 터널 안에 소량의 스테로이드를 혼합한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면 즉시 통증이 없어지는 것을 볼수 있다.

 

3) 광대관자신경( zygomatico-temporal n.)장애에 의한옆머리 통증

증상 : 옆머리 부분 앞쪽에 통증이 있고 편측으로 있을 때에는 일종의 편두통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원인 :  위턱신경에서 나오는 광대관자신경(zygomatiaHemporal n.)이 눈가장자리와 눈썹가장자리사이의 외측으로 2cm가량 떨어진곳에서 피부로 나오다가 긴장된 관자근(temporal m.) 의해 압박 당하면 관자 놀이 부분에 통증을 일으킨다. 구체적인 이유는 없지만 질긴 음식을 오래 씹다보면 관자근이 긴장하거나 통증유발점을 활성하는 것으로추측된다.

진단 : 광대관자신경과 관자근이 교차하는 지점을 촉진해보면 관자근의 앞쪽 부분에 굳어있는 압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치료 : 관자근과 광대관자신경 교차하는 부위의 관자근에 소량의 국소마취제를 주사하고 마사지 해주면 통증은 쉽게 완화된다.

 

 

4) 광대얼굴신경(zygomatico-facial n.) 장애에의한통증 증상

광대뼈(zygomatic bone)부분의감각신경장애로피부감각이무뎌지거나이상감각을느끼거 통증이있을수도있다.

원인 : 광대뼈주위의 피부감각을맡고있는신경이 삼차신경의 위턱신경(maxillary n.:V2)에서 오는광대얼굴신경인데 광대뼈의상부외측부분에서광대뼈에 있는구멍을통해 피부로 온다. 광대얼굴신경의 출구가어떠한원인에의해 막히는일이 생기면이러한증상을일으 키게 된다

진단 : 광대뼈의외측가장자리앞에있는광대얼굴신경의 치료 촉진으로광대뼈에 있는신경의 출구를찾아여기에소량의 스테로이드를혼합한국소마취 제를주사해주고물리치료를해주면쉽게 치료된다 만져보면압통이느껴진다.

5) 눈꺼풀경련(안검경련: blepharospasm) 얼굴근육파동증(facial myokymia) 증상

눈꺼풀이나얼굴근육의 일부분이불규착적으로미세하게 떨리는증상을말한다. 긴장하면 증상이 심해지기도하기 때문에심리적인병으로오인하기도한다. 원인 얼굴신경이 머리뼈에서 붓꼭지구멍( stylomastoid foramen) 통해 져나오자마자두힘살근( digastric m.) 뒷힘살(posterior belly) 밑을지나게 된다. 두힘살근이긴장하여가볍게 얼굴신경을압박하면신경이흥분을일으키면서 지배 받는근육을자극하여눈꺼풀이나얼굴근육들을불수의적으로움직여주게된다.

진단 : 귓바퀴의 뒤쪽과꼭지돌기아래 사이에 있는근육을촉진해서비교해보면환측에 심한압통과근육이굳어져있음을 있다. 치료 얼굴신경마비와같이두힘살근의뒤힘살을치료해준다.

6) 앞이마에있는통증(forehead pain) 증상

앞이마쪽과두피의 앞쪽부분이긴장하면서팽팽하게당기거나조이는통증이다 원인 이마근 긴장하면서눈확윗신경을조이면 생기는통증이지만주원인은얼굴신경의 뒷머리가지(occipital br.) 머리널판근(splenius capitis m.)에게 압박당해서 홈분을일으켜 뒷머리근긴장시키면’ 연장선상에있는이마근을잡아당기면서생기는통증이다 진단 원인을 앞이마에서 찾지 않고 꼭지돌기 후하방의 머리널판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을 찾는 . 머리널판근의 유발점은 혈관성두통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뒷머리근(occipitalis m.) 지배하는 얼굴신경의 가지를 압박해서 앞이마와 안구에 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치료 꼭지돌기 후하방에 있는 머리널판근의 유발점에 주사해주면 즉시 통증의 완화를 보게 된다. 간혹 통증의 기전을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앞이마 쪽에서 눈확윗신경직접 차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뒷머리 통증환자에게 큰뒤통수신경(ᄎ않 차단 해서 감각마비를 일으키는 것과 같이 치료의 의미는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