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한국동란 시에 의약품이 부족했던 군의무실에서는 복통을 가진 병사에게 위생병들이 복벽에 외상 환자의 상처소독제로 쓰이던 약품을 발라주었다는 농담 같은 일이 있었다고 한다.
의료수준이 높아졌다는 현재까지도 그러한 형태의 진료가 행해지고 있다면 믿어지지 않을 것이나 그러한 진료를 해주는 의사나 진료를 받은 환자 모두가 사실 자체를 모르고 있다는 것이 문제 .
필자는 교과서적인 치료법을 떠나 다른 각도에서 견갑관절통증의 원인을 찾아 치료해줌으로써 월한 치료효과를 있었다.
증상
어깨의 통증 때문에 팔을 들어올리기(flexion) 뒤로당기기(extension) 힘들고 어깨관절의 회전(internal rotation)이나외회전(external rotation) 어렵다. 급성으로 심하게 생긴 경우에는 팔을 뻗어 수평자세까지 올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통증 때문에 운동이 불편했지만 만성화되면 어깨관절피막이 유착을 일으키거나 근육들이 위축을 일으켜 운동장애가 생긴다. 만성 환자는 운동을 하지 않는 취침 시에 통증이 심하다 취침 시에는 통증이 있는 어깨를 아래로 하고 옆으로 누우면 통증이 심해 깊은 잠을 못자는 경우가 있다 드물게는 삼각근주위에 감각신경의 장애로 어깨관절주위가 시리거나 차갑다는 호소를 하기도 한다
통증의기전
어깨관절통의 초기증상은관절을감싸고있는어깨세모근(deltoid m.) 긴장에의한 허혈성 통증이다. 원인은어깨세모근의운동신경인 겨드랑신경(axilkry n.) 어깨돌림근중의 하나인 작은원근(teres minor m.) 에 생긴 통증유발점에 의해 압박받기 때문이다.
겨드랑신경이 어깨세모근과 작은원근의운동을 담당하고 있는데 작은원근에 의해 압박받은 겨드랑신경이 흥분을 일으키면 작은원근을 더욱 긴장시켜 겨드랑신경과 작은원근 사이에 악순환의고리 (vicious cycle) 를 형성하게 된다. 압박 받아 흥분된 겨드랑신경의 지배를받는 어깨세모근에 긴장과 허혈이 생겨 통증과 운동장애를 일으키게된다. 취침시에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는 잠자는 동안에는 골격근들이 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근육에 혈액순환이 부족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옆으로 누워자다 보면 작은원근과 어깨세모근이 압박받아 겨드랑신경과 혈관 동시에 조여질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이다. 위팔 위쪽 바깥감각신경(upper lateral cutaneous nerve of aim)과 혈관의 압박으로 어깨세모근 근처가 시리거나 차가움을 호소하는 경우도 생긴다
진단
이학적검시에서 능동적외전(active abduction) 능동적외회전(active external rotation) 어깨에 통증이있고수동적내회전(passive internal rotation) 때에 어깨 뒤쪽에 통증이심하다. 결정적 진단은 환자를 엎드리게하고 어깨뼈(scapula) 바깥쪽가장자리의 제일상부를 촉진해서 작은 원근(teres minor m.) 있는 통증유발점을 찾는것이다
치료
작은 원근에 생긴 통증유발점에 주사를 해준 다음 물리치료를 해준다. 주사 후에 겨드랑신경의 압박이 풀리면 바로 통증 완화와 기능의 정상화를 느낄 있다. 그러나 겨드랑신경이 직접 차단되면 어깨 세모근의 기능이 마비될 있으므로 겨드랑신경을 직접 차단할 필요는 없다. 관절피막의 구축으로 관절운동의 제한이 있는경우에는 수동적운동(passive excercise)으로외전 (abduction), 내회전(internal rotation), 외회전(external rotation) 시켜 운동범위를 늘려주어야한다. 치료법이 견갑관절통증치료의 전부라 수는없겠지만 80% 이상의통증이 이러한기전에 것이었고 치료에 효과가있었다. 관절의 통증이 없어진후에도 관절피막의 구축이 심해서 수동적 운동으로 관절운동범위가 늘어나지 않을때에는 관절경(arthroscopy)을 이용해서 관절피막의유착을 박리 해주면 운동량을 늘려줄수도있다